본문 바로가기
IT Basic/Data

[DB] 2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by HouseDust 2022. 4. 20.
반응형

교재 ↓

 

데이터베이스의 정석 - 교보문고

누구를 위한 책인가?ㆍ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개념과 용어를 빠른 시간에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ㆍ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설계 과정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자 하는 경우ㆍ MySQL DBMS의 활용 방법과

www.kyobobook.co.kr

 

제 2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 데이터 언어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서버 & 데이터모델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 일반사용자 : 컴퓨터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문 지식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사용자
    • 초급사용자
    • 중급사용자
  • 응용 프로그래머 : 데이터베이스 전문 지식을 가지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개발할 목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사용자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통제하는 특별한 소수의 사용자

 

데이터 언어

  • 데이터 정의어(DDL) : CREATE, ALTER, DROP
  • 데이터 조작어(DML) : INSERT, UPDATE, DELETE, SELECT
  • 데이터 제어어(DCL) : GRANT, REVOKE, CREATE USER, COMMIT, ROLLBACK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 리스트 ...) values (데이터 리스트 ...)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delete from 테이블명
select 컬럼명리스트 from 테이블명

- 조건 : where 컬럼명 =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BMS의 구성 요소

 

  • 정의 기능 : 데이터베이스 구조 생성, 삭제, 변경
  • 조작 기능 : 원하는 데이터 조작. 입력, 수정, 삭제, 검색 요청 처리
  • 제어 기능 : 항상 데이터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통제, 보안과 권한 설정, 동시성과 무결성 유지, 백업 및 회복 조치 제어

 

 

데이터베이스 서버

: 데이터베이스가 구동되는 서버(server)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

 

데이터 모델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체계화된 구조를 명세하기 위한 개념 틀

  • 계층형 데이터 모델(HDM) : 트리개념 데이터 사이의 연관관계를 포인터로 표현하는 저장방식 하나의 상위 부모와 여러 개의 하위 자식. 1 : N 검색속도 빠름
  •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NDM) : 데이터 사이의 연관관계를 포인터로 표현하는 저장방식 계층형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여 트리구조를 네트워크 형태로 변환 N : N 가능 검색 속도 빠름
  • 관계형 데이터 모델(RDM) : 테이블 형태의 저장구조, 데이터 사이의 연관 관계를 테이블의 키(key), 열(column)을 통해 표현하는 저장방식 연관된 데이터 사이의 기본키와 외래키를 통해 논리적 관련성을 표현함으로써 유연하고 이해하기 쉬움
  • 객체 지향형 데이터 모델(OODM) : 객체 단위의 저장구조,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객체 식별자(OID : Object IDentifier)로 표현하는 저장 방식 클래스, 상속, 자료추상화 객체 지향 언어의 상속, 캡슐화 등의 개념을 저장 구조에 도입 ※ 클래스를 이용하여 객체를 만드는 과정 : 인스턴스화
  •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ORDM)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기본으로 객체 데이터 모델의 객체 특성을 일부 반영한 절충형 모델

 

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한 것

데이터베이스의 정적인 구성뿐만 아니라 동적인 유지 조건까지를 포함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라도 접근 관점에 따라 스키마는 다를 수 있음

  • 외부 스키마 사용자가 외부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개인적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응용 프로그래머 차원에서 접근하는 일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부분
  • 개념 스키마 (1개의 데이터베이스 당 1개) 모든 사용자들의 관점을 통합하여 전체 조직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는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부분
  • 내부 스키마 (1개의 데이터베이스 당 1개)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조 정의 실제 장치의 물리적 저장 방식이나 구조를 명세한 것은 아니고, 그보다는 추상화된 상위 표현

 

데이터 사전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열, 뷰, 인덱스, 사용자 권한 등)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

사용자뿐만 아니라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한 저장공간. 그 자체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일반 사용자가 맘대로 변경할 수 없도록,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해놓은 공간. 시스템 카탈로그라고도 불림

※ 메타 데이터(Meta data)

: 데이터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data about data)”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3-level Database)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이의 독립성을 제공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y)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개념적 스키마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

 


참고자료

박성진, My SQL과 모바일 웹으로 만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석, 배움터(2019), p38-p6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