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Basic/Data

[DB] 1장,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by HouseDust 2022. 4. 20.
반응형

교재 ↓

 

데이터베이스의 정석 - 교보문고

누구를 위한 책인가?ㆍ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개념과 용어를 빠른 시간에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ㆍ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설계 과정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자 하는 경우ㆍ MySQL DBMS의 활용 방법과

www.kyobobook.co.kr

 

제 1장,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데이터(data) : 객관적 사실, 정량적 혹은 정성적 실제 값(value)

정보(information) :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거나 가공 처리를 통해 의사 결정(decision making)에 활용하도록 체계적으로 조직한 결과물

 

생성된 정보는 정보 시스템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로 활용되기도 함

I = information, P = processing, D = data

I = P(D)
I = P(P(P(D)))

데이터와 정보는 처리과정 안에서 반복사용될 수 있다.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

: 조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저장해 두었다가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전통적 파일 정보 시스템

특징 : 응용 프로그램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데이터 파일 마다 검색, 삽입, 갱신 삭제 코드를 직접 개발해야만 함

문제점

  • 데이터 종속성
  • 데이터 중복성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 종속성 문제를 공통의 데이터 모델과 표준 데이터 언어를 이용하여 해결

- 데이터 중복성 문제를 통합 저장소를 이용하여 해결

-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DBMS가 제공

1970년대 정보화 이전 X 수기기록 1명
1980년대 초기 정보화 X 파일저장 수 명
1990년대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DB저장 수천 명
2000년대 데이터웨어하우스 DB저장 수만 명
2010년대 빅데이터 모바일 DB저장 수억 명

 

장점

  • 데이터 종속성 최소화
  • 데이터 중복성 감소
  • 데이터 동시공유
  • 데이터 일관성
  •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 보안 향상
  • 표준화된 데이터 접근
  • 데이터 가용성 향상
  • 응용프로그램 개발 비용 감소

단점

  • 시스템 운영비용 증가
  • 시스템 관리 부담 증가
  • 시스템 취약성 증가

 

넓은 의미의 데이터 베이스

: 관련된 콘텐츠를 모아놓은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형식이나 구성에 제약 없이 자유롭게 활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좁은 의미의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 형식이나 구성에 엄격한 제약을 갖는 시스템 관점에서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공용데이터 : 많은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데이터
  • 통합데이터 : 여러 곳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한 데이터
  • 운영데이터 : 특정 조직의 운영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데이터
  • 저장데이터 : 컴퓨터를 통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디지털화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실시간 접근(realtime accessibility) : 사용자수가 몇만 명이든, 사용자 데이터 요구에 실시간으로 응답해야 함
  • 끊임없는 변화(continuous evolution) : 현실세계의 변화를 정확히 반영해야함
  • 동시 공용(concurrent sharing)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용할 수 있어 누구나 필요할 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내용 기반 참조(content based referencing) : 주소가 아닌 내용(값)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함

참고자료

박성진, My SQL과 모바일 웹으로 만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석, 배움터(2019), p14-p3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