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페이징2

[OS] 8장 가상메모리 8장, 가상메모리 프로그램이 CPU에서 실행되려면, 실행에 필요한 부분이 메모리에 올라와 있어야 한다. 이때 운영체제는 어떤 프로그램에 얼마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빠른 수행을 위해 프로세스마다 최소한으로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의 크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균등하게 할당하기보다는 특정 프로그램에 집중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전체가 메모리에 올라와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당장 수행해야 할 부분만 메모리에 올려놓고, 나머지는 디스크의 스왑(swap) 영역에 두었다가 필요할 때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물리적 메모리 크기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프로세스는 자신만이 메모리를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0번지부터.. 2022. 1. 5.
[OS] 7장 메모리 관리 7장, 메모리 관리 메모리는 주소를 통해 접근하는데, 메모리 주소는 이진수로 매겨진다. 컴퓨터는 바이트(byte) 단위로 메모리 주소를 부여한다. 메모리 주소는 계층적으로 관리하는데, 보통 4KB(12비트) 단위로 묶어 페이지(page)를 만들어 사용한다.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해 메모리에 적재될 때 프로세스를 위한 독자적인 주소 공간이 형성된다. 이 주소를 논리적 주소(logical address) 혹은 가상 주소(virtual address)라고 한다. 각 프로세스에 독립적으로 할당된 논리적 주소는, 0번지부터 시작한다.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는 물리적 메모리에 실제로 올라가는 위치를 말한다. 보통 물리적 메모리의 낮은 주소 영역에는 운영체제가, 높은 주소 영역에는 사용자 프로세스.. 2021. 12. 28.
반응형